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고추에서 발생하는 진딧물과 진딧물 매개 바이러스 방제’ 리플릿을 제작해 시군농업기술센터와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바이러스 매개충인 진딧물의 발생이 평년대비 7∼10일 빨라지고 있으며, 진딧물 매개 바이러스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 2024년 노지고추 바이러스 발병률 52.7%로 평년대비 16.9% 증가
진딧물 및 바이러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발생생태를 이해하고, 정식 전·후 진딧물을 적절하게 방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번에 발간한 리플릿은 진딧물 발생양상(형태, 피해증상, 발생흔적, 생활사)과 진딧물 매개 3종 바이러스(CMV, PepMoV, BBWV2)의 다양한 피해증상을 수록했다.
또한 정식 전 진딧물 방제약제(단제 12종, 혼합제 3종), 정식 후 진딧물 엽면살포 약제(단제 11종, 혼합제 6종)를 자세히 안내하고 있다.
장길수 영양고추연구소장은 “2022년 총채벌레 방제 리플릿 첫 발간을 시작으로 이번 진딧물 방제 리플릿은 고추 재배지 바이러스 매개충 방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병해충 피해경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ttp://www.sminews.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6579&me_id=&me_code=&type=web
고추 진딧물과 바이러스 방제기술 담은 리플릿 발간!
진딧물 발생시기, 매개 바이러스 피해증상, 방제전략 등 알기 쉽게 설명
www.sminews.kr
'경북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도, K-뷰티산업 활성화 위해 박차 가한다 (0) | 2025.02.17 |
---|---|
재대구경북시도민회, 고향사랑기부금 1,000만원 쾌척 (0) | 2025.02.17 |
경북, 물관리 신(新) 기술로 미래의 물길을 열다 (0) | 2025.02.14 |
경북소방, 관내 주택화재 발생 증가! 도민들의 각별한 주의 필요 (1) | 2025.02.14 |
경북도, 주민참여예산협의회 본격 가동...도민참여 보장 (0) | 2025.02.14 |